2020년 7월 23일 목요일

3.3.3. Covariant Differentiation and Christoffel Symbol (1) - 3.3.3.1 Parallel transport & 3.3.3.2 Covariant Differentiation and Affine Connection (Christoffel Symbol)

3.3.3. Covariant Differentiation(공변 미분)과 Christoffel Symbol

  Covariant Derivative of \({{\rm{X}}^{\rm{a}}}\)

cAa=cAa+ΓbcaAb    A  ;ca= A  , ca+ ΓbcaAb

cAa=cAa-ΓacbAb    A a  ;c= A a , c- ΓacbAb

  편미분에서와 달리, 공변 벡터는 미분 결과가 Tensor가 됨. 이 때 \({\bf{\Gamma }}_{{\bf{bc}}}^{\bf{a}}\)가 도입되며 \({\bf{\Gamma }}_{{\bf{bc}}}^{\bf{a}}\)를 Christoffel Symbol 혹은 Connection Coefficient 혹은 Affine Connection이라고함

  본 장에서는 공변 미분에 대하여 기술하며, 공변 미분에 포함되는 Christoffel Symbol의 변환(Some relations involving connection coefficients)에 대하여 기술함. 마지막으로 Christoffel Symbol은 Metric Tensor로 표현되는 것을 보임.

Parallel Transport

 평행 이동 결과 Vector 변화량이 비유클리드 공간에서는 선형 변환되지 않아, 편미분에서와 같이 Tensor를 유지하지 못하며 이를 Tensor화 하기 위하여 Christoffel Symbol을 도입

Covariant Differentiation

 미분에 의해서도 Tensor가 유지되는 미분을 정의

 평행이동에서 도출된 식 \(\left( {\bar \delta {A^a}\left( x \right) = - \Gamma _{bc}^a\;{A^b}\left( x \right)\delta {x^c}} \right)\) 을 이용하여 \({\nabla _c}{X^a} = {\partial _c}{X^a} + \Gamma _{bc}^a{X^b}\) 혹은  X  ;ca= X  , ca+ ΓbcaXb 유도

Christoffel Symbol and Metric Tensor

 마지막으로 Christoffel Symbol은 Metric Tensor로 표현된다

 Metric Tensor를 알면, Christoffel Symbol을 알수 있어 공변 미분이 가능하게 되므로 Einstein Field Equation의 해를 풀 때, 실질적으로 매우 많이 활용됨


3.3.3.1 Parallel transport

<Reference>
  • D’inverno “Introducing Einstein’s Relativity Chapter 6.3. The Affine connection and covariant differentiation”
  • Ryder, “Introduction to General Relativity 3.10. Parallel transport”

  두 가지 벡터를 도입

P점 벡터를 Q점으로 평행이동한 벡터 : \({{\rm{A}}^a}\left( x \right) + \bar \delta {A^a}\left( x \right)\)

P점 u에서 미소 변화된 Q점에서 벡터 : \({A^a}\left( {x + \delta x} \right) = {A^a}\left( x \right) + \delta {A^a}\left( x \right)\)

 P점에서 벡터와 차이가 \({A^a}\left( {x + \delta x} \right) - {A^a}\left( x \right) = \delta {A^a}\left( x \right)\)라고 정의

P점 벡터를 Q점으로 평행이동한 벡터와 P점에서 \(\delta x\) 만큼 미소 변화된 Q 점에서의 벡터 차이는 \(\delta {A^a}\left( x \right) - \bar \delta {A^a}\left( x \right)\)가 된다

  \({x^a} + \delta {x^a}\)좌표를 가지는 Q점에서의 반변 벡터장(Contravariant vector field) \({A^{\rm{a}}}\left( x \right)\)*) 고려해 보자. 그러면, Taylor’s theorem에 의하여 \({A^a}\left( {x + \delta x} \right) = {A^a}\left( x \right) + \delta {x^b}{\partial _b}{A^a}\)

δxbbAa=δAa(x)=Aax+δx-Aax

두 개의 다른 점에서의 Tensors을 차감하므로 \(\partial {A^{\rm{a}}}\)는 Tensor가 아님

P점에 있는 Vector \({A^{\rm{a}}}\)를 Q점으로 평행이동(Parallel transport)하면 \({A^{\rm{a}}} + {\rm{\;\bar \delta }}{A^{\rm{a}}}\)이며 \({A^{\rm{a}}}\)와 비교하면 매우 적은양(a small amount)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

“비유클리드 공간에서도 P점과 Q점은 매우 적은 변화량이라면 유클리드 공간으로 간주한다” (이 의미가 유클리드 공간에서와 똑같다는 의미가 아니라, 선형 결합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하는게 적절한 것으로 보임. 즉, 휘어진 공간에서 극소 변화량에도 벡터의 변화가 직선의 변화 외에 휘어진 정도를 선형 결합으로 표현가능한 것으로 해석해야 뒤에서 기술하는 평행 이동과 공변 미분, 그리고 Christoffel Symbol 에 대한 설명이 이해됨)

 편미분(Partial Derivative)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좌표의 극소변화에 따른 Vector의 변환은 Tensor가 아니었다. 이와 유사하게, Q점으로 평행이동된 Vector의 극소변화인 \({\rm{\bar \delta }}{A^{\rm{a}}}\)는 Tensor가 아니다

 Q 점에서 \(\left( {{A^a} + \delta {A^a}} \right) - \;\left( {{A^a} + \bar \delta {A^a}} \right) = \delta {A^a} - \bar \delta {A^a}\) 관계가 성립함

\({A^{\rm{a}}}\left( x \right)\) 혹은 \({\rm{\delta }}{x^{\rm{a}}}\)에 대해서 \({\rm{\bar \delta }}{A^{\rm{a}}}\)항이 사라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rm{\bar \delta }}{A^{\rm{a}}}\)가 \({A^{\rm{a}}}\left( x \right)\) 와 \({\rm{\delta }}{x^{\rm{a}}}\) 에 대하여 선형관계로 정의하는 것이 가장 단순한 방법임

 \(\bar \delta {A^a}\left( x \right) = - \Gamma _{bc}^a\;{A^b}\left( x \right)\delta {x^c}\)

Ryder 책(3.10장)에서는 평행이동에 대한 표현이 있는데, 좌측 아래 그림이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평행이동은 동일함을 설명하고 있으며, 만약 구면 좌표계(공간이 휘어 있다)라면 다르다고 설명하고 있음. 
(중략) 
'Connection Coefficient'라는 용어는 한 지점의 벡터장의 값을 다른 지점의 벤터장 값과 연결하기 때문에 발생. 그것은 공간에 의해 발생되는 추가 구조에 해당

Ryder에 의하면, 'Connection Coefficient'라는 용어는 한 지점의 벡터장의 값을 다른 지점의 벤터장 값과 연결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그것은 공간에 의해 발생되는 추가 구조에 해당한다고 설명

 결국, Christoffel Symbol은 공간 구조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는 것을 의미. 만약, 유클리드 공간(평평한 공간)이라면 Christoffel Symbol 도입이 필요없으며 다른 휘어진 공간이라면 공간 구조 정보가 Christoffel Symbol이 담고 있어야 비 Tensor적 요소가 제거될 수 있기 때문임

  더 자세한 수학적 표현은 3.4.1.2. Parallel Transport Condition and Affine Geodesics에서 다룬다


3.3.3.2 Covariant Differentiation and Affine Connection (Christoffel Symbol)

<Reference>
  • D’inverno “Introducing Einstein’s Relativity Chapter 6.3. The Affine connection and covariant differentiation”
  • Moore Problem 17.2 COVARIANT DERIVATIVE OF A GENERAL TENSOR

  \({\nabla _c}{A^a} = \mathop {\lim }\limits_{\delta {x^c} \to 0} \frac{1}{{\delta {x^c}}}\left[ {{A^a}\left( {x + \delta x} \right) - \left( {{A^a}\left( x \right) + \bar \delta {A^a}\left( x \right)} \right)} \right]\)

Parallel Transport에서의 다음 두 식을 이용하면,

 \({A^a}\left( {x + \delta x} \right) = {A^a}\left( x \right) + \delta {x^b}{\partial _b}{A^a}\)

 \(\bar \delta {A^a}\left( x \right) = - \Gamma _{bc}^a\;{A^b}\left( x \right)\delta {x^c}\)

 \({\nabla _c}{A^a} = \frac{1}{{\delta {x^c}}}\left[ {{A^a}\left( {x + \delta x} \right) - \left( {{A^a}\left( x \right) + \bar \delta {A^a}\left( x \right)} \right)} \right] = \frac{1}{{\delta {x^c}}}\left[ {{A^a}\left( x \right) + \delta {x^b}{\partial _b}{A^a} - {A^a}\left( x \right) + \Gamma _{bc}^a\;{A^b}\left( x \right)\delta {x^c}} \right]\) \( = \frac{1}{{\delta {x^c}}}\left[ {\delta {x^b}{\partial _b}{A^a} + \Gamma _{bc}^a\;{A^b}\left( x \right)\delta {x^c}} \right] = {\partial _c}{A^a} + \Gamma _{bc}^a\;{A^b}\left( x \right)\)

\({\nabla _c}{A^a} = {\partial _c}{A^a} + \Gamma _{bc}^a\;{A^b}\) 혹은 \(A_{\;\;;c}^a = \;A_{\;\;,\;c}^a + \;\Gamma _{bc}^a{A^b}\)

\({\nabla _c}{A^a} = {\partial _c}{A^a} + \Gamma _{bc}^a\;{A^b}\) 혹은 \(A_{\;\;;c}^a = \;A_{\;\;,\;c}^a + \;\Gamma _{bc}^a{A^b}\)

\({\nabla _{\rm{c}}}{{\rm{A}}_{\rm{a}}} = \mathop {\lim }\limits_{{\rm{\delta }}{x^{\rm{c}}} \to 0} \frac{1}{{{\rm{\delta }}{x^{\rm{c}}}}}\left[ {{{\rm{A}}_{\rm{a}}}\left( {x + {\rm{\delta }}x} \right) - \left( {{{\rm{A}}_{\rm{a}}}\left( x \right) + {\rm{\bar \delta }}{{\rm{A}}_{\rm{a}}}\left( x \right)} \right)} \right]\)

반변 Vector에 대해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공변 Vector에 대해서 계산하면,

♦ \({A_a}\left( {x + \delta x} \right) = {A_a}\left( x \right) + \delta {x^b}{\partial _b}{A_a}\)

 \(\bar \delta {A_a}\left( x \right) = \Gamma _{ac}^b\;{A_b}\left( x \right)\delta {x^c}\)

 \({\nabla _c}{A_a} = \frac{1}{{\delta {x^c}}}\left[ {{A_a}\left( {x + \delta x} \right) - \left( {{A_a}\left( x \right) + \bar \delta {A_a}\left( x \right)} \right)} \right] = \frac{1}{{\delta {x^c}}}\left[ {{A_a}\left( x \right) + \delta {x^b}{\partial _b}{A_a} - {A_a}\left( x \right) - \Gamma _{ac}^b\;{A_b}\left( x \right)\delta {x^c}} \right]\) \( = \frac{1}{{\delta {x^c}}}\left[ {\delta {x^b}{\partial _b}{A_a} - \Gamma _{ac}^b\;{A_b}\left( x \right)\delta {x^c}} \right] = {\partial _c}{A_a} - \Gamma _{ac}^b\;{A_b}\left( x \right)\)

\({\nabla _c}{A_a} = \;{\partial _c}{A_a} - \Gamma _{ac}^b\;{A_b}\) 혹은 \(A_{\;a\;\;;c}^{} = \;A_{\;a\;\;,\;c}^{} - \;\Gamma _{ac}^b{A_b}\)

  공변 미분(Covariant Differentiation)

\({\nabla _c}{A^a} = {\partial _c}{A^a} + \Gamma _{bc}^a\;{A^b}\) 혹은 \(A_{\;\;;c}^a = \;A_{\;\;,\;c}^a + \;\Gamma _{bc}^a{A^b}\)

\({\nabla _c}{A_a} = \;{\partial _c}{A_a} - \Gamma _{ac}^b\;{A_b}\) 혹은 \(A_{\;a\;\;;c}^{} = \;A_{\;a\;\;,\;c}^{} - \;\Gamma _{ac}^b{A_b}\)

<\({\nabla _c}{A_a} = \;{\partial _c}{A_a} - \Gamma _{ac}^b\;{A_b}\) 다른 유도(Moore 방법)> 

\({A^a}{B_a} = scalar\) 이므로 \({A^a}{B_a}\) 은 일반적인 미분과 동일. 따라서, \({\nabla _c}\left( {{A^a}{B_a}} \right) = {\partial _c}\left( {{A^a}{B_a}} \right) = \;\left( {{\partial _c}{A^a}} \right){B_a} + {A^a}\left( {{\partial _c}{B_a}} \right)\)가 성립 

\({A^a}{B_a}\)를 공변 미분하면, \({\nabla _c}\left( {{A^a}{B_a}} \right) = \;\left( {{\nabla _c}{A^a}} \right){B_a} + {A^a}\left( {{\nabla _c}{B_a}} \right) = \left( {{\partial _c}{A^a} + \Gamma _{bc}^a\;{A^b}} \right){B_a} + {A^a}\left( {{\nabla _c}{B_a}} \right)\) 가 성립 

\({\nabla _c}\left( {{A^a}{B_a}} \right) = {\partial _c}\left( {{A^a}{B_a}} \right)\)이므로 양변에 상기 두 식을 대입하면
\(\left( {{\partial _c}{A^a}} \right){B_a} + {A^a}\left( {{\partial _c}{B_a}} \right) = \left( {{\partial _c}{A^a} + \Gamma _{bc}^a\;{A^b}}
\right){B_a} + {A^a}\left( {{\nabla _c}{B_a}} \right)\)
\({A^a}\left( {{\partial _c}{B_a}} \right) = \Gamma _{bc}^a\;{A^b}{B_a} + {A^a}\left( {{\nabla _c}{B_a}} \right)\)
\({A^a}\left( {{\nabla _c}{B_a}} \right) = {A^a}\left( {{\partial _c}{B_a}} \right) - \Gamma _{bc}^a\;{A^b}{B_a}\) 

\({A^a}\left( {{\nabla _c}{B_a}} \right)\)과 \({A^a}\left( {{\partial _c}{B_a}} \right)\)의 free Index \(a\)를 b로 relabelling 하면
\({A^b}\left( {{\nabla _c}{B_b}} \right) = {A^b}\left( {{\partial _c}{B_b}} \right) - \Gamma _{bc}^a\;{A^b}{B_a}\)
\({\nabla _c}{B_b} = {\partial _c}{B_b} - \Gamma _{bc}^a\;{B_a}\)

  Symmetric Christoffel Symbol

Torsion Tensor = \({\rm{T}}_{{\rm{bc}}}^{\rm{a}} = {\rm{\Gamma }}_{{\rm{bc}}}^{\rm{a}} - {\rm{\Gamma }}_{{\rm{cb}}}^{\rm{a}}\)

만약 \({\rm{T}}_{{\rm{bc}}}^{\rm{a}} = {\rm{\Gamma }}_{{\rm{bc}}}^{\rm{a}} - {\rm{\Gamma }}_{{\rm{cb}}}^{\rm{a}} = 0\) 이면, Symmetry임

Christoffel Symbol이 대칭이란 의미는 비틀림이 없다는 의미(비틀림 부재, torsion free)

Christoffel Symbol은 Affine Connection의 일종인데 Tensor 편미분이 Tensor가 되도록 선형으로 연결하는 기호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